본문 바로가기
나의일상일기/글로벌세계

인류는 '高高씽'..1km 바벨탑이 솟다!

by 찬란원 2015. 1. 2.
728x90

기획]마천루시대 활짝 도시의 삶이 바뀐다

[ 출처 : 아시아경제신문 2015.1.2.]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업성과 인허가 문제 등으로 보류되거나 폐기됐던 국내 초고층 빌딩사업이 하나둘씩 재개되고 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마천루(skyscraper·摩天樓)시대'가 다시 열리는 것이다.
 
지구촌에서 벌어지는 세계 최고 높이를 실현하려는 각축전이 금융위기 이후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그 욕망은 숨쉬고 있다. 2000년대 후반 주춤했던 마천루 경쟁은 중국을 필두로 세계 곳곳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내년 말 완공을 앞둔 서울 송파 제2롯데월드(123층·555m)를 비롯해 상암DMC 랜드마크 부지 개발, 현대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 사업도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랜드마크로서의 마천루 건축 경쟁은 보는 시각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혼재한다. 그럼에도 경제성장에 따라 토지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면서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는 지속될 전망이다. 초고층빌딩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본다.
 
마천루 경쟁의 선두주자는 중국이다. 현존하는 최대 높이 건축물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부르즈 칼리파(163층·828m)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1000m 높이의 '킹덤타워'를, 중국 우한에서 역시 1000m 높이의 쌍둥이 빌딩을 건설에 착수했다.

2020년이면 중국이 세계 최고층 빌딩 10개 가운데 6개를 차지할 정도로 초고층 건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20년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 완공될 700m 높이의 '중난센터(中南中心)'를 비롯해 선양, 우한, 톈진 등에서도 건설이 활발하다. 지역을 중화권으로 확대하면 이미 현재 세계 20대 초고층 빌딩 가운데 절반이 중국과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 있다.
 
마천루 경쟁에 있어 한국의 위상 역시 뒤지지 않는다. 부르즈 칼리파는 삼성물산이 주 시공사로 참여했다. 이때 접목된 대표적인 시공 신기술은 사흘에 한층을 올리는 골조공법 등 수십가지다. 이 같은 초고층 시공 기술력은 세계가 인정한 '파워자산'이다. 해외에서 쌓은 내공은 국내에서도 유감없이 빛을 발하고 있다.
 
국내에 준공된 가장 높은 빌딩인 인천 송도 동북아트레이드타워의 높이는 313m. 부르즈 칼리파 높이에는 절반에도 못 미치지만 땅을 딛고 살아가며 수평의 개념이 익숙한 사람들에게 이 정도의 수직 거리는 올려다보는 것만으로도 색다른 느낌이다.
 
국내 초고층 건축 붐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주상복합아파트가 선도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50~70층 규모의 주상복합 건축물이 공급됐다. 주상복합의 초고층화는 대세로 굳어졌다.
 
이후에는 좀 더 차원이 높은 초고층빌딩이 들어서고 있다. 동북아트레이드타워에 앞서 여의도 국제금융센터(55층·284m)가 수도권에 들어서있다.

부산 해운대 위브 더 제니스(80층·300m)에 이어 해운대관광리조트랜드마크타워(108층·421m), 해운대관광리조트 레지던스A, B(85층·398m)는 300m가 넘는 초고층으로 2018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건축법에서 규정하는 초고층빌딩은 50층에 높이 220m 이상인데 200m 높이면 초고층 빌딩으로 분류 가능하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 준공된 200m 이상 건축물은 50여개이며 계획 중이거나 짓고 있는 건축물을 포함하면 70여개에 달한다.
 
초고층 건축물 총 사업비는 약 35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 중 100층 이상은 19조원, 50~100층 규모는 16조원 규모다. 계획 중인 초고층 건축물의 실현율은 100층 이상은 약 22%, 50~100층 규모의 건축물은 70% 정도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자금난 등으로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엎어진' 사업도 속출하고 있다. 사업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이유에서다.

경제운 국토기술진흥원 연구원은 "초고층 건축물은 계획에서 준공까지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있지만 기술적 문제보다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경제상황에 따라 층수를 낮추거나 사업자체를 백지화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 서울과 수도권에서 건립이 추진 중이던 100층 이상 초고층건축물 10곳 중 서울 송파 롯데월드타워를 제외하고는 사업이 백지화됐거나 중단됐다가 다시 재개되는 절차를 밟고 있다.
 
중단 사례는 용산 랜드마크빌딩(111층·620m)을 비롯해 송도 인천타워(151층·610m), 부산솔로몬시티(108층·517m) 등이다. 상암DMC 개발 부지에 들어서 예정이었던 옛 서울라이트타워(133층·644m)는 최근 중국 뤼디그룹과 투자협약을 맺으면서 사업 재개 급물살을 타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추진하던 성수 글로벌비즈니스센터(110층·540m) 역시 사업이 무산됐지만 삼성동 한전부지를 매입한 현대차그룹이 이곳에 100층 이상의 빌딩 건립을 검토하면서 재개되고 있다.
 
강부성 한국초고층건축학회 부회장은 "독특한 외관에다 조망권을 확보한 랜드마크로서의 상징성이 크다"며 "높이 1000m에 달하는 빌딩도 지을 수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마천루 무한경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세계 최고층 빌딩인 부르즈 할리파

 

 

 

 

중국 스카이 시티 847m 

 

 

낙힐 하버뷰 타워-지상 200층,높이 1140M!|  

 

 

 롯데 월드타워 (123층 556m) 

 세상에서 제일 높은 빌딩 1609미터 킹덤타워 2019년 완공 (사우디아라비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