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이야기

농촌 식품사막의 오아시스가 될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추진하여 삶의 질 높인다!

찬란원 2024. 7. 30. 09:17
728x90

- 관심 시‧군 18개 대상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시범 추진,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단계적 확대

[ 자료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4.7.30 ]

영광군 여민동락공동체 이동점빵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 인구감소와 교통 여건 취약 등에 따라 농촌마을에 소매점이 사라져 식료품, 필수 공산품 등을 구매하기 어려워지는 ‘식품사막’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영광군 묘량면에서 송미령 장관 주재로 현장간담회를 개최하고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 (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통계청), 21.12.) 전국 37,563개 행정리 중 27,609(73.5%) 행정리는 해당 행정리 안에 음식료품 소매업이 없음

  ** (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통계청), 21.12.) 전국 37,563개 행정리 중 대중교통이 없는 마을은 2,224(5.9%)

 

  이번 현장간담회에는 이동장터 추진에 참여 의향이 있는 18개 중 8 시‧군과 지역농협이 참석하였고, 현장간담회 개최지인 묘량면은 2010년부터 민간조직(여민동락공동체) 주도로 지역주민들을 위해 생활필수품과 지역의 농산물 등을 트럭에 실어 매주 2 42개 농촌마을 대상으로 배달‧판매하는 이동장터를 운영 중인 곳이다.

 

   양양군완주군장수군순천시강진군함평군영광군의성군

 

  또 다른 이동장터 운영사례로서, ‘포천시 소흘농협’에서는 2019년부터 지자체와 협력하여 취약계층을 위해 ‘찾아가는 행복장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단순히 생필품만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의 말벗이 되는 소통의 역할을 하고 있어 주민 만족도가 높다.

 

  이러한 이동장터 운영사례 확산과 농촌지역에 부족한 생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중물로서 농식품부는 마을 곳곳을 다니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를 추진할 계획이며, 농식품부가 특장차량, 기자재 등을 보조하면 지자체는 민간(농협 하나로마트, 지역 소매점 등)과 인력 확보, 운행 방법 등을 협의하여 운영하는 방식이다.

 

  또한,이동장터로만 그치지 않고, 농촌마을에서 소매점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는 셔틀버스 등을 지원하거나, 생필품 배달 외 복지‧문화‧돌봄 등 생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식 등 다양한 유형을 지자체에 제시하여 지역 여건과 특색을 녹여낼 계획이다.

 

  현장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읍‧면 중심지에 집중된 생활서비스 기능을 배후마을로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의견에 적극 공감하였고, 더 나아가 농촌지역에 부족한 서비스를 지역 내에서 해결하기 위해 지역 공동체 주도로 지역단위 생활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농식품부는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추진을 위해 농협과 함께 ‘이동장터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지자체에 조만간 배포할 계획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시‧군 단위 시범지구를 선정하고 올해 기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자체를 독려하여 빠른시일 내 농촌 지역주민들이 생활 편의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송 장관은 “앞으로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가 ‘식품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농협이 농촌 주민의 복지와 삶의질 제고를 위해 적극 참여해달라”라고 당부하며, 동시에 “정부도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에 관심 있는 지자체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포천시 소흘농협 찾아가는 행복장터

[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추진계획 (요약) ]

 (배경) 

농촌인구 감소 등에 따라 농촌주민 일상생활 어려움이 가중, 생필품 구입·배달  필수서비스 지원 필요성 대두

 

 * (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통계청), 21.12.) 전국 37,563개 행정리 중 27,609(73.5%) 행정리는 해당 행정리 안에 음식료품 소매업이 없음

 

 (경과) 

농협과 지자체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농촌마을까지 생필품 구입 지원  생활서비스 지원 실행 방안 협의

 

 전문가 간담회(24.1→ 지자체 간담회 3(24.1~5→ 이동장터 운영 현장방문(5→ 농협중앙회 간담회(5→ 사업참여 지자체 설명회(5)

 ** 113개 농촌지역 대상 의견조회 후 관심 지자체 18개 시·군 발굴(24.5)

 

 (주요내용)

 생필품(가공식품‧식료품‧농산물 ) 실은 개조 트럭이 농촌마을을 방문하여 주민들에게 생필품 구입 지원하는 판매서비스 제공

 

 * (국내사례포천 소흘농협영광 여민동락공동체(조합) / (국외사례일본 도쿠시마루현에서 ’이동형 슈퍼‘ 운영

 

 지역별 여건에 따라, 셔틀버스 운행 통한 마트 이동 지원  생필품 배달  생활돌봄 서비스 통합 제공  유형 다양화  

 

 (추진방안)

 시·군과 지역농협(하나로마트)  민간과 협업 통한 시범운영

 

   (사업운영) 

농식품부(차량구입·기자재 지원), 지자체(차량운영비·전담인력 지원), 지역농협(보조인력 지원  생필품 판매) 또는 사회적경제조직

  이동장터 형식의 사업을 추진한 농협의 경험과 노하우를 참고농협과 협업하여 ‘이동장터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배포

 

   (사업확대)

 ‘가가호호 이동장터’ 발대식  시범사업 홍보, 우수사례 발굴  통해 113 시·군 대상으로 점진적 확대 추진

 

 (기대효과)

 ’이동마트‘ 확대로 생필품 접근성이 향상되고, 지역주민과의 교류 증대로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기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