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돌문화정원
셋째날 마지막 여정인 제주돌문화공원을 관람하고 모든 일정을 마무리 한다.
제주물절자연휴양림을 산책하고 마지막 일정인 제주돌문화 공원에 도착하였다.
도착해보니 관광객들이 너무없고 설렁한 느낌이 드는데 혹시나 별볼일 없어서 관광객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관광택시기사님이 돌문화공원은 볼만하고 보더라도 절대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적극 추천하여 관람하기로 하였다.
입장료 5,000원지불하고 관람하는데 테마코스별로 입장해보니 전시구성과 다양한 돌로 테마별로 잘 조성하였다.
관람은 가족과 함께 조용한 공원에서 산책한다는 것이 오히려 미안할 정도로 느꼈다.
야외에 물정원호수 등을 다양하게 사진에 담고 건물지하 돌박물관을 관람하는데 웅장한 건물속에 묵직하고 다양성 돌을 전시하고 있다.
한참 둘러보고 야외에 테마별로 전통집과 하루방, 항아리 등 이채롭고 다양한 돌을 조성하여 관람객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예전에 방송을 통하여 돌문화공원을 한창 조성하는 것을 접했을때~ 가고 싶은 곳이 하나이기도 하나
관광객들이 너무 없어서 홍보 등에 많이 부족함을 느낀다.
다음에는 충분한 여유있는 시간을 가지고 다시 한번 방문하여 차분하게 돌을 감상하고 싶다.
[ 제주돌문화 공원소개]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에 있는 제주 지역의 상징적인 돌을 주제로 한 공원
■설립목적
: 화산섬인 제주도를 창조한 여신 설문대 할망과 오백 장군의 돌에 관한 전설을 주제로 하여 제주 돌 문화의 면면과 제주민의 생활상 등을 관람하고 제주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알리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변천
1998년 7월 탐라 목석원에서 제출한 가칭 제주 돌 박물관 사업 계획이 확정되어 1999년 1월 19일 북제주군과 탐라 목석원 간 협약이 체결되었다. 2000년 탐라 목석원에서 12,000여 점의 전시 자료를 기증하였다.
2001년 6월 8일 도내 10명, 도외 5명 등 자문 위원 15명을 위촉하여 기증 받은 자료의 검증 및 회의를 거쳐 동년 9월 19일 기공식과 더불어 제주 돌 문화 공원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2002년과 2005년 탐라 목석원에서 추가로 총 14,441점의 전시 자료를 기증하였다. 2005년 매년 5월 15일을 설문대 할망제로 지정하였다. 2006년 6월 3일 제주 돌 문화 공원을 개원한데 이어 2007년 5월 1일 ‘설문대 할망의 달’ 축제 행사를 개최하였다.
■ 활동사항
2007년 5월 25일~5월 26일 제주 돌 문화 공원 제주 돌 박물관 내 영상실에서 제주 화산 연구소 주최로 제주의 화산에 관한 제5회 국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2007년 8월 6일~8월 12일 제주 돌 문화 공원에서는 여름 방학을 맞이하여 제주의 전통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감물 염색 체험 행사를 개최하였다
■ 현황
전시 시설로는 제주 돌 박물관, 돌문화전시 8동, 야외 전시장, 전통 초가 8동 등이 있으며 편의 시설로는 뮤지엄샵, 휴게소, 향토 음식점, 쉼터 등이 갖추어져 있어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제주 화산 연구소의 학술적 뒷받침에 의해 제주 돌 박물관에 암석·지질관을 조성함으로써 제주도의 형성 과정을 소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희귀한 수석과 자연석들을 전시하고 있다.
같은 종류의 돌 민속품들을 한 곳에 모아 주제별로 전시를 하였으며, 전통 초가를 재현하여 생활 속에서 돌 민속품들을 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어린 학생을 포함한 도민들에게 산 교육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정체성과 향토성을 심어 주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제주 돌 문화 공원에서는 제주 돌 문화의 발원지가 될 한라산 영실에서 전해 내려오는 설문대 할망과 오백 장군 전설을 핵심 주제로 설정하여 설문대 할망 부대 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오후 7시까지이며 동절기에는 오후 5시까지이다. 제주 공항이나 서귀포시에서 남조로행 시외버스를 타면 약 40분 정도 소요된다. 인근 관광지로는 제주 4·3 평화 공원, 미니미니 랜드, 절물 자연 휴량림 등이 있다.
제주도에 올때마다 숲길을 산책하다 보면 유난히 더덕향이 진하게 나는것에 대하여 궁금증을 한참 만에 풀었다. 다름아니라 더덕이 아니 상산나무였다. 마지막 여정에 제주돌문화공원에서 더덕향기 원인 숙제을 해걀하였다. 앉을때 더덕향이 나는 뒤쪽나무 상산나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