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집 우선 정비구역, 특정 빈집 이행강제금 도입(개정 농어촌정비법 7월 3일 시행)
- 민간에서 빈집을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빈집은행, 빈집재생프로젝트 등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지난 1월 “농어촌정비법” 일부 개정으로 도입된 농촌 빈집 우선 정비구역 지정 제도와 특정 빈집 이행강제금 부과 등이 7월 3일부터 시행되며, 이로써 민간의 자발적 빈집 정비 유도와 민간 빈집 활용 확대를 병행하는 농촌 빈집 투 트랙(two-track) 정책이 본격 추진된다고 밝혔다.
[“농어촌정비법” 주요 시행 내용과 관련]
농촌 빈집 정비 활성화를 위한 “농어촌정비법” 일부 개정안의 7월 시행을 위해 농식품부는 빈집 우선 정비구역 지정 세부기준과 이행강제금의 유형별 기준을 구체화하는 등 “농어촌정비법」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정비 절차”를 거쳤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지역의 빈집이 증가하고 있거나 빈집 비율이 높은 지역을 중점적으로 정비하도록 시장·군수·구청장이 빈집 우선 정비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을(농어촌 또는 준 농어촌 지역의 행정동·리) 중심으로 빈집이 최소 10호 이상 또는 빈집 비율이 20% 이상인 경우 구역으로 지정 가능하되, “농촌 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농촌 마을보호지구는 빈집이 5호 미만인 경우에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별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빈집 우선 정비구역을 지정토록 하였다.
빈집 우선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 생활환경정비사업 시행자가 구역 내 빈집을 개축 또는 용도 변경하는 경우 “건축법” 등에 따른 건폐율·용적률·건축물의 높이 제한 등에 대해 지자체의 심의회를 거쳐 기존 빈집의 범위 내에서 그 기준을 완화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안전사고, 범죄 발생 및 경관 훼손 우려가 큰 특정 빈집에 대해서 시장·군수·구청장의 철거 등 조치 명령을 미이행하는 경우 해당 빈집 소유자에게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도록 하며, 조치 명령의 종류에 따른 이행강제금 부과금액을 정하였다.
이행강제금은 농촌 빈집 철거 소요 비용 등을 고려하여, “철거 명령 미이행 시 5백만원, 벌목 등 위해요소 제거와 같은 그 밖의 명령 미이행 시 2백만 원으로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시장·군수·구청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조례로 최대 50%까지 부과금액을 감경할 수 있다.
[특정 빈집 관련 지자체 조치 절차 관련]
농식품부는 빈집 우선 정비구역 및 이행강제금 도입 등과 관련하여 지자체 농촌 빈집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난 3월 빈집정책 워크숍을 이틀에 걸쳐 개최한 바 있으며, 이러한 내용을 반영한 “농촌 빈집 정비 업무매뉴얼” 개정판도 지자체에 금주 중에 배포하여 지자체의 농촌 빈집 행정업무 처리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빈집 활용 및 정비 활성화 대책 추진과 관련]
농식품부는 법령 개정 등 제도 개선을 통한 빈집 소유자의 자발적 정비뿐 아니라 빈집 철거 및 개량 관련 융자를 지원하는 농촌주택개량 사업 등을 통해 빈집 정비 지원을 계속하는 한편, 농촌 빈집을 지역 자원으로 보고, 민간에서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정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자체 및 민간과의 협업을 통해서 농촌 지역 빈집은행을 구축해 빈집 거래를 활성화하고, 민간의 빈집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자체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및 민간 기업과 연계를 통해서 농촌 빈집을 마을 호텔, 워케이션 등으로 리모델링하는 빈집 재생프로젝트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빈집 매매 및 활용과 관련해서는 관심 지자체 및 민간 기업과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빈집을 활용한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는 동시에 법·제도 등 개선 필요 사안을 발굴하기 위해 별도 실증연구를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 빈집이 또 하나의 농촌 소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농촌 빈집 소유주분들이 경각심을 갖고 빈집을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자체에서도 빈집 우선 정비구역 지정 및 이행강제금 부과 제도를 통해 빈집 정비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언급하면서 “농식품부는 농촌 지역의 빈집이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민간이 다양하게 빈집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지자체 및 민간 등과 적극적으로 협업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 자료출처 : 농식품부 2024년7월2일 보도자료 ]
'나의일상일기 > 글로벌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숲가꾸기 통해 탄소흡수량 높은 건강한 산림 경관 개선 (0) | 2024.07.15 |
---|---|
“도심 건물 지하에 농장이?”…농업벤처 ‘스케일업’ 첫 지원 (0) | 2024.07.05 |
‘광합성 효과’ 특수 비닐 국내서도 개발 (0) | 2024.05.20 |
햇빛 대신하는 식물 생장용 LED 조명, 2027년 4조 원대 시장으로 (0) | 2024.05.20 |
농업의 디지털 전환, 세대 전환, 농촌공간 전환! 국민과 함께하는 농업·농촌 (0) | 2024.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