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시프트, 숲이 바뀌어야 사람도 산다]
[ 자료출처 : 동아일보 이미지 기자2025. 4. 3.]
지난달 22일(현지 시간) 미국 오리건주 코밸리스시(市)에 위치한 맥도널드던 숲에서 오리건주립대 산림학과 소속 연구원 맷 슈만 씨가 연구실에서 개발한 산림 다목적 로봇을 가리키며 말했다.
약 1m 높이에 측정 장치와 컴퓨터, 트랙 바퀴가 달린 로봇이 움직이자 슈만 씨 손에 들린 스마트 패드에 주변 숲이 3차원으로 구현되기 시작했다. 슈만 씨는 “로봇이 숲을 돌아다니며 벌채 후 남아 있는 목재 등 산불 위험 요소를 찾고 임도 형태나 숲의 모양을 3차원으로 구현한다”며 “이 데이터로 산불을 조기 발견하고 나무의 쓰러짐 등으로 산사태 발생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美도 깊은숲 관리 기피, 인력 못구해… 로봇 투입 ‘산불지도’ 만들어
〈2〉 美, 산림기술 개발 집중
이동형 ‘계획적 불놓기’ 로봇 개발… “마른 풀-나무 미리 태워 산불 예방”
번개 떨어진 지점 추적해 조기 대응… 드론 활용해 묘목 자동식재 기술도
州-美정부, 수백억원 예산 적극 지원

슈먼 씨가 스마트패드로 로봇을 원격 조작하며 말했다. 슈먼 씨가 소속된 오리건주립대 포레스트리 연구실은 지난해 델루카 학장이 로봇 전문가인 우희성 교수를 영입하며 산림 관리 로봇들을 개발해오고 있다. 이 개발 중인 산림 기술은 이뿐만이 아니다. 드론을 이용해 원하는 목표 지점에 나무를 심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단일 수종으로 이뤄진 숲은 산불 발생 시 불이 빠르게 번진다. 혼합림을 조성하거나 불에 강한 나무들을 심어야 하지만, 넓은 산림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 묘목을 일일이 심기란 쉽지 않다. 슈먼 씨는 “흙에서 썩는 상자에 묘목을 담아 드론으로 숲까지 운반한 뒤 목표 지점에 투하해 자동으로 나무를 심는 기술을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산불 커지는데 인력 감소… 기술 개발 불가피

기후 변화로 산불은 더욱 커지고 잦아질 전망이지만, 미국에서도 산림 관련 업종은 힘든 일로 여겨져 인력 유입이 점차 줄고 있다. 21일 오리건주 임업회사 스타커에서 임도 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제니퍼 비스는 “산림대학에서 꾸준히 젊은 산림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있지만 숲에 자주 가거나 벌목을 하는 것이 어렵거나 위험한 일이라는 생각 때문에 새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졌다”며 “산불 관리, 나무 식재 업무의 경우 주로 멕시코 이민자들을 채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 산불 위험 마른나무 소각하는 로봇도


이 같은 기술은 단지 개별 기관의 노력으로만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정부가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번봇의 계획적 불놓기 기기도 미국 산림청이 약 2970만 달러(약 436억8276만 원)를 지원한 덕에 빠르게 개발될 수 있었다.
2025~2026년 캘리포니아 주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는 화재 감지 카메라와 위성 기술 매핑 등 산불 예방 첨단 기술 개발에만 1040만 달러(약 152억9000만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 번개도 추적해 산불 선제 대응
미국에서는 전체 산불의 약 46%가 번개 때문에 발생한다. 실제로 오리건주에서는 2022년 발생한 산불 889건 중 216건이 번개로 인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위성 및 고해상 카메라 등을 이용해 번개가 떨어진 지점을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곳도 많다. 리스 도브마이어 스타커 산불예방 담당자는 21일 “번개가 내리친 지점을 빠르게 확인하면 산불에 조기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별취재팀 |
▽팀장 이미지 사회부 차장 image@donga.com ▽황인찬 임우선 조은아 특파원(이상 국제부) 김태영 이소정 임재혁 기자(이상 사회부) 한재희 기자(산업1부) |
'나의일상일기 > 글로벌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길’ 된 獨 도심숲, 대기질 개선-열섬 완화… 일자리도 창출 (0) | 2025.06.19 |
---|---|
단풍나무 숲 ‘설탕 오두막’ 체험, 가족 관광객 줄이어 (0) | 2025.06.19 |
日 ‘산촌의 기적’… 폐목재 발전소 세우자 인구-관광객 늘었다 (0) | 2025.06.19 |
“코앞까지 닥친 불에 끝이라 생각… 숲길로 온 진화차가 살렸다” (0) | 2025.06.19 |
“주차장 없애고 녹지로”… ‘카투트리’ 캠페인 (0) | 2025.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