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균 소득률 전년 대비 1.3%p 증가, 9월 중순 자료집 발간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021년도에 생산된 50개 농산물의 소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년 대비 단위면적당(10a) 노지채소 소득은 16%, 특용작물은 4% 감소했다. 하지만 식량작물 6%, 시설채소 12%, 노지과수 19%, 시설과수 11%, 화훼 9%가 증가하여 평균 소득률은 48.6%(전년 대비 1.3%p 증가)로 나타났다.
![](https://blog.kakaocdn.net/dn/q4DJZ/btrMdN19WvI/7no8kdQiOiqTd7wvPWk3gk/img.png)
소득이 높은 작목은 촉성오이, 시설딸기, 시설포도 등 시설작목이었다. 10아르(1,000m2)당 촉성오이는 1,261만 원, 시설딸기는 1,192만 원, 시설포도는 1,152만 원으로 조사됐다. 노지작목 중 노지포도는 733만 원, 블루베리는 419만 원, 배는 386만 원 등으로 과수 소득이 높았다. 오이는 출하 비중이 높은 봄·가을 작형의 시장공급이 감소하여 가격이 상승했다.
* 오이(도매가격): (’20) 1,640원/kg → (’21) 1,710(전년 대비 4%↑, 평년 대비 11%↑)
![](https://blog.kakaocdn.net/dn/0NDIg/btrMdFQMzn8/gK7KMaLjTPI6cvt99Z6bt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I9hzB/btrMdDMg41t/rJDx8RtFs7KkPuxRx5z3Kk/img.png)
노지채소는 최근 3년간 소득순위 변동이 매우 컸다. 특히 조미채소(생강, 대파, 쪽파)와 근채류(무, 당근) 순위 변동이 심했다. 전통적 식량작물인 밀(23만 원), 쌀보리(20만 원), 겉보리(12만 원) 등은 겨울 및 출수기 기상 양호로 수량이 증가해 소득도 늘었다. 하지만 단위면적당 소득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지채소(조미채소류) | 노지채소(근채류) | ||||||
작목/연도 | ‘19년 | ‘20년 | ‘21년 | 작목/연도 | ‘19년 | ‘20년 | ‘21년 |
생강 | 3위 | 4위 | 17위 | 가을무 | 13위 | 22위 | 18위 |
대파 | 15위 | 10위 | 19위 | 고랭지무 | 20위 | 12위 | 20위 |
쪽파 | 10위 | 2위 | 4위 | 당근 | 19위 | 13위 | 28위 |
최근 3년간(2019∼2021년) 소득변동이 적은 작목은 시설딸기로 나타났다. 과수원·시설 기반 재배기술이 안정화된 과수·시설채소는 변동이 적은 데 비해 기상에 따라 작황과 수량 변동이 크고 전년 시세에 따라 작목전환이 상대적으로 쉬운 노지채소는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안정화를 위해서는 농가의 연차간 소득 변동이 적은 작목 선택이 중요하다.
작목 |
|
|
|
|
|
|
|
2019 | 5.7 | 8.6 | 5.1 | 5.1 | 10.2 | 11.1 | 8.4 |
2020 | 6.9 | 8.2 | 5.2 | 5.4 | 9.1 | 13.7 | 9.0 |
2021 | 7.3 | 8.0 | 5.6 | 6.3 | 7.9 | 18.1 | 8.7 |
평균 | 6.6 | 8.3 | 5.3 | 5.4 | 9.1 | 14.3 | 8.7 |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대푯값을 중심으로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소득 변동계수(CV)가 작을수록 연도별 소득변동이 적어 안정적인 작목으로 분류(CV = 표준오차/평균×100%)
전년 대비 소득 증가 작목은 34개, 소득 감소 작목은 16개로 분석됐다. 소득이 20% 이상 증가한 작목은 밀(292%), 참깨(70%), 파프리카(58%), 복숭아(53%), 노지수박(45%), 노지포도(22%), 시설딸기(20%) 등 11개였다. 이 작목들은 지속적인 수요로 가격이 유지 또는 증가하고, 생육기 및 수확기 작황이 양호하여 소득이 증가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dvvFo/btrMd6UCl3i/C2IYnt2V8Ysxc8GT25mKOk/img.png)
반면, 소득이 20% 이상 감소한 작목은 노지당근(△63%), 노지생강(△50%), 노지고랭지무(△43%), 노지대파(△37%) 등 노지채소였다. 전년 출하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기상 여건이 양호해 공급이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장기화로 수요가 줄면서 가격 하락과 소득 감소로 이어졌다.
![](https://blog.kakaocdn.net/dn/AXuwf/btrMcTohCrF/22kuasYGKUqcIKI1JX5tm0/img.png)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조성주 과장은 “농가에서 실질적인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품종 및 재배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수요자 맞춤형 농산물을 생산하고, 농산물 시장수요를 고려한 적정 재배면적 확보와 비용 절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농산물 소득조사는 농업인 작목 선택, 경영개선 연구·지도, 농업정책 지원, 영농 손실보상 산정 등에 활용된다. 이번 결과는 9월 중순 ‘2021년 농산물소득자료집’으로 발간되고,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 농업경영정보시스템(amis.rda.go.kr),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볼 수 있다.
식량작물 |
(기준 : 년1기작/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kg) | 가격(원/kg) | |||||
겉보리 | 390,791 | 523 | 746 | 272,266 | 118,525 | 30.3 |
쌀보리 | 508,167 | 454 | 1,118 | 306,753 | 201,414 | 39.6 |
밀 | 500,390 | 499 | 1,002 | 271,237 | 229,152 | 45.8 |
노지풋옥수수* | 1,882,077 | 2,962 | 635 | 852,439 | 1,029,639 | 54.7 |
고구마 | 3,831,388 | 1,665 | 2,285 | 1,826,106 | 2,005,282 | 52.3 |
봄감자 | 2,010,279 | 2,140 | 940 | 1,285,205 | 725,074 | 36.1 |
가을감자 | 2,348,660 | 1,676 | 1,401 | 1,346,524 | 1,002,136 | 42.7 |
평균 | 1,918,806 | - | - | 1,021,607 | 897,199 | 46.8 |
* 노지풋옥수수 수량은 이삭갯수 * 소득률=(소득/총수입)×100, * 10a(아르)=1,000㎡
노지채소 |
(기준 : 년1기작/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kg) | 가격(원/kg) | |||||
노지수박 | 4,899,514 | 5,192 | 944 | 2,214,891 | 2,684,623 | 54.8 |
가을무 | 2,478,377 | 5,771 | 429 | 1,041,120 | 1,437,257 | 58.0 |
고랭지무 | 2,590,084 | 7,491 | 346 | 1,443,890 | 1,146,194 | 44.3 |
당근 | 2,640,570 | 3,984 | 663 | 1,948,366 | 692,204 | 26.2 |
봄배추 | 2,072,945 | 7,254 | 286 | 943,876 | 1,129,069 | 54.5 |
가을배추 | 2,956,473 | 6,143 | 481 | 1,220,690 | 1,735,783 | 58.7 |
고랭지배추 | 2,438,936 | 6,444 | 378 | 1,428,956 | 1,009,980 | 41.4 |
노지시금치 | 3,368,659 | 1,124 | 2,998 | 1,149,486 | 2,219,173 | 65.9 |
양배추 | 2,140,768 | 6,761 | 317 | 1,225,664 | 915,104 | 42.7 |
대파 | 2,777,979 | 3,825 | 726 | 1,443,235 | 1,334,744 | 48.0 |
쪽파 | 6,088,418 | 1,614 | 3,773 | 2,559,604 | 3,528,815 | 58.0 |
생강 | 5,130,262 | 1,864 | 2,727 | 3,439,266 | 1,690,996 | 33.0 |
평균 | 3,309,757 | - | - | 1,641,405 | 1,668,352 | 50.4 |
시설채소 |
(기준 : 년1기작/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kg) | 가격(원/kg) | |||||
수박(반촉성) | 6,326,050 | 4,779 | 1,324 | 3,056,065 | 3,269,985 | 51.7 |
시설참외 | 10,570,426 | 3,645 | 2,900 | 5,113,727 | 5,456,699 | 51.6 |
시설딸기 | 26,489,721 | 3,184 | 8,315 | 14,569,698 | 11,920,023 | 45.0 |
오이(촉성) | 29,553,862 | 14,852 | 1,990 | 16,946,678 | 12,607,184 | 42.7 |
오이(반촉성) | 14,417,420 | 9,267 | 1,556 | 6,463,607 | 7,953,813 | 55.2 |
오이(억제) | 7,842,576 | 4,533 | 1,730 | 4,458,042 | 3,384,534 | 43.2 |
시설호박 | 13,583,987 | 7,420 | 1,831 | 7,460,594 | 6,123,393 | 45.1 |
토마토(촉성) | 25,139,629 | 11,510 | 2,184 | 13,895,360 | 11,244,269 | 44.7 |
토마토(반촉성) | 20,124,327 | 7,784 | 2,578 | 9,498,538 | 10,625,789 | 52.8 |
방울토마토 | 17,904,696 | 5,401 | 3,315 | 10,310,589 | 7,594,106 | 42.4 |
시설가지 | 24,801,331 | 11,545 | 2,148 | 13,513,908 | 11,287,423 | 45.5 |
파프리카 | 36,989,142 | 12,675 | 2,918 | 26,250,421 | 10,738,721 | 29.0 |
시설시금치 | 3,118,804 | 1,316 | 2,369 | 1,921,511 | 1,197,293 | 38.4 |
시설상추 | 8,836,900 | 3,137 | 2,817 | 4,885,785 | 3,951,115 | 44.7 |
시설부추 | 9,272,523 | 4,128 | 2,246 | 5,343,747 | 3,928,776 | 42.4 |
시설고추 | 17,942,420 | 5,625 | 3,190 | 8,506,014 | 9,436,406 | 52.6 |
평균 | 17,612,154 | - | - | 9,668,103 | 7,944,051 | 45.1 |
과 수 |
(기준 : 년/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kg) | 가격(원/kg) | |||||
사과 | 6,456,812 | 2,211 | 2,915 | 3,164,983 | 3,291,829 | 51.0 |
배 | 7,173,727 | 2,785 | 2,565 | 3,314,420 | 3,859,307 | 53.8 |
복숭아 | 4,861,367 | 1,170 | 4,155 | 2,164,026 | 2,697,341 | 55.5 |
노지포도 | 10,472,660 | 1,415 | 7,394 | 3,147,760 | 7,324,899 | 69.9 |
노지감귤 | 4,069,003 | 3,100 | 1,311 | 1,518,196 | 2,550,807 | 62.7 |
단감 | 3,333,567 | 1,331 | 2,505 | 1,470,540 | 1,863,027 | 55.9 |
참다래(키위) | 6,096,822 | 1,567 | 3,846 | 2,762,176 | 3,334,646 | 54.7 |
블루베리 | 7,881,008 | 395 | 19,884 | 3,694,728 | 4,186,281 | 53.1 |
자두 | 3,632,895 | 902 | 4,027 | 1,666,196 | 1,966,699 | 54.1 |
평균 | 6,658,745 | - | - | 2,778,519 | 3,880,226 | 58.3 |
시설과수 |
(기준 : 년/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kg) | 가격(원/kg) | |||||
시설포도 | 18,263,423 | 1,563 | 11,684 | 6,742,747 | 11,520,676 | 63.1 |
화훼 |
(기준 : 년1기작/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본) | 가격(원/본) | |||||
시설장미 | 28,223,013 | 67,823 | 416 | 21,457,533 | 6,765,479 | 24.0 |
특용작물 |
(기준 : 년1기작/10a)
품목 | 총수입(원) | 경영비 (원) |
소득 (원) |
소득률 (%) |
||
수량(kg) | 가격(원/kg) | |||||
참깨 | 1,519,695 | 67 | 22,610 | 598,565 | 921,130 | 60.6 |
인삼(4년근) | 13,338,603 | 631 | 21,138 | 5,798,828 | 7,539,775 | 56.5 |
오미자 | 3,987,874 | 396 | 10,080 | 1,883,820 | 2,104,054 | 52.8 |
들깨 | 1,074,571 | 84 | 12,747 | 400,717 | 673,854 | 62.7 |
평균 | 5,450,664 | - | - | 2,388,888 | 3,061,776 | 56.2 |
* 인삼은 4년 1기작 경영성과 결과
붙임 2 | 작목별 10a당 소득 순위 변동 |
√ 10a당 1,000만원 이상 작목(7개)은 시설채소(과채류) 위주 * 6작목(오이촉성, 딸기시설, 가지, 토마토촉성·반촉성, 파프리카), 1작목(시설포도) √ 10a당 100만원 이하 작목(8개)은 식량작물 위주 * 4작목(밀, 쌀보리, 겉보리, 봄감자), 2작목(참깨, 들깨), 2작목(양배추, 당근) |
시설작목 |
□ ’21년 10a당 소득순위는 촉성오이 > 시설딸기 > 시설포도 순
○ (소득증가) 시설과채류(가지, 딸기, 토마토, 고추), 시설과수(포도)
○ (소득감소) 시설엽채류(상추, 부추, 시금치)
○ (순위변동) 과채류 순위 상승과 엽채류 순위 하락으로 격차 확대
![](https://blog.kakaocdn.net/dn/1nLOw/btrMfOk8BId/xYrhApgbJfptiLnABdEKSK/img.png)
* (기준: 2021년 작목별 소득) 전년 대비 소득순위 상승(→), 순위 하락(→), 순위 유지(→)
* 연도별 전국 조사작목(총/노지/시설) : ’18년 52/33/19, ’19년 49/31/18, ’20년 50/32/18, ’21년 50/32/18
노지작목 |
□ ’21년 10a당 작목소득은 포도 > 블루베리 > 배 > 쪽파 순 ○ (소득증가) 과수(포도, 배, 참다래), 식량(밀, 쌀보리, 겉보리) ○ (소득감소) 조미채소(생강·대파·쪽파), 엽근채류(배추·양배추·당근) □ ’21년 10a당 작목군 소득은 노지과수 > 노지채소 > 식량작물 순 ○ (노지과수) 노지포도, 배, 사과, 노지감귤 등이 소득 증가 ○ (노지채소) 조미채소 소득 감소폭이 크고, 고랭지채소 소득 부진 ○ (식량작물) 서류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고, 맥류 소득이 낮음 * (3년 연평균 소득증감률) 노지과수(10.9%) > 식량작물(10.8%) > 노지채소(△1.1%) |
○ (과수) 10a당 소득순위는 포도 > 블루베리 > 배 > 사과 순
- (소득증가) 복숭아, 배, 참다래, 노지포도의 소득증가가 컸음
* 소비자 선호가 높은 품종 전환(포도: 샤인머스캣, 사과: 시나노골드, 배: 화산·신화 등)
* 겨울철과 봄철 기온상승(전년 대비 동해·저온피해 감소)으로 개화 양호
- (소득감소) 3년 연속 블루베리 소득이 감소 추세
* 노지재배는 시설재배보다 출하 시기가 늦고, 수입산(생과) 출하 시기가 겹침
![](https://blog.kakaocdn.net/dn/PcXdZ/btrMdHgJOOJ/cjn5BtaXHD1UQKV8AAGzX0/img.png)
* 자두는 2020년 신규 조사작목(승인통계) 추가
○ (노지채소) 10a당 소득순위는 쪽파 > 노지수박 > 시금치 순
- (소득증가) 노지수박, 가을무, 가을배추, 시금치 순으로 증가율이 높음
- (소득감소) 근채류(당근, 고랭지무), 조미채소(생강, 대파, 쪽파)
![](https://blog.kakaocdn.net/dn/oDZhD/btrMdERYONb/2e6NLKgtvMaOWiHzlW55Fk/img.png)
○ (식량작물) 10a당 소득순위는 고구마 > 풋옥수수 > 가을감자 순
- (소득증가) 고구마, 가을감자, 들깨 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
- (소득감소) 봄감자, 인삼(4년근) 소득이 전년 대비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d94Sd1/btrMdGa5Ikh/pXGOJV3lNo4kUQYnKoYecK/img.png)
* 인삼(4년근)은 연간 소득으로 환산
붙임 3 | 작목별 소득 증감 |
증 가 |
○ (추세 비교) 단기추세(전년 대비) 對 중장기 추세(평년 대비)
- (시설딸기) 평년 및 전년 대비 각각 13%, 20% 증가로 강한 상승세
- (시설장미) 평년 대비 28% 감소, 전년 대비 9% 증가로 일시 회복
○ 전년 대비 증가 : 34개 작목
- 주요 상위 작목: 밀(292%), 참깨(70%), 파프리카(58%), 노지수박(45%)
○ 평년 대비 증가 : 25개 작목
- 주요 상위 작목: 시설포도(80%), 노지포도(71%), 노지시금치(45%)
(기준 : 천원/10a)
순위 | 작목 | ’20년 | ’21년 | 평년 (’16~’20) |
’21년 증감률(%) | |
전년 대비 | 평년 대비 | |||||
1 | 시설딸기 | 9,933 | 11,920 | 10,530 | 20.0 | 13.2 |
2 | 시설포도 | 10,359 | 11,521 | 6,410 | 11.2 | 79.8 |
3 | 시설가지 | 10,151 | 11,287 | 9,301 | 11.2 | 21.4 |
4 | 토마토(촉성) | 9,741 | 11,244 | 9,612 | 15.4 | 17.0 |
5 | 파프리카 | 6,793 | 10,739 | 8,894 | 58.1 | 20.7 |
6 | 토마토(반촉성) | 9,001 | 10,626 | 8,389 | 18.1 | 26.7 |
7 | 시설고추 | 8,647 | 9,436 | 8,195 | 9.1 | 15.1 |
8 | 오이(반촉성) | 7,513 | 7,954 | 7,006 | 5.9 | 13.5 |
9 | 방울토마토 | 6,575 | 7,594 | 5,950 | 15.5 | 27.6 |
10 | 노지포도 | 5,983 | 7,325 | 4,291 | 22.4 | 70.7 |
11 | 시설장미 | 6,234 | 6,765 | 9,413 | 8.5 | △28.1 |
12 | 시설참외 | 4,661 | 5,457 | 5,774 | 17.1 | △5.5 |
13 | 배 | 2,907 | 3,859 | 2,927 | 32.8 | 31.9 |
14 | 오이(억제) | 2,984 | 3,385 | 3,438 | 13.4 | △1.6 |
15 | 참다래 | 2,720 | 3,335 | 2,973 | 22.6 | 12.2 |
16 | 사과 | 3,216 | 3,292 | 3,070 | 2.4 | 7.2 |
17 | 수박(반촉성) | 2,851 | 3,270 | 2,989 | 14.7 | 9.4 |
18 | 복숭아 | 1,759 | 2,697 | 2,793 | 53.4 | △3.4 |
19 | 노지수박 | 1,853 | 2,685 | 1,942 | 44.8 | 38.2 |
순위 | 작목 | ’20년 | ’21년 | 평년 (’16~’20) |
’21년 증감률(%) | |
전년 대비 | 평년 대비 | |||||
20 | 노지감귤 | 2,155 | 2,551 | 2,457 | 18.4 | 3.8 |
21 | 노지시금치 | 2,026 | 2,219 | 1,530 | 9.5 | 45.0 |
22 | 오미자 | 1,802 | 2,104 | 2,121 | 16.7 | △0.8 |
23 | 고구마 | 1,824 | 2,005 | 1,711 | 9.9 | 17.2 |
24 | 자두 | 1,684 | 1,967 | 2,830 | 16.8 | △30.5 |
25 | 단감 | 1,632 | 1,863 | 1,558 | 14.1 | 19.6 |
26 | 노지가을배추 | 1,512 | 1,736 | 1,821 | 14.8 | △4.7 |
27 | 노지가을무 | 1,230 | 1,437 | 1,620 | 16.9 | △11.3 |
28 | 노지풋옥수수 | 863 | 1,030 | 1,027 | 19.3 | 0.3 |
29 | 가을감자 | 866 | 1,002 | 949 | 15.7 | 5.6 |
30 | 참깨 | 542 | 921 | 674 | 69.9 | 36.7 |
31 | 들깨 | 549 | 674 | 551 | 22.8 | 22.2 |
32 | 밀 | 58 | 229 | 175 | 291.8 | 30.9 |
33 | 쌀보리 | 189 | 201 | 190 | 6.5 | 6.0 |
34 | 겉보리 | 76 | 119 | 199 | 55.7 | △40.4 |
* 들깨는 2018년부터 조사하여 3개년(’18년∼’20년) 평균 사용
○ (추세 비교) 평년 대비 증감과 전년 대비 10% 이상/이하 증가
- (시설장미) 평년 대비 28% 감소, 전년 대비 9% 증가로 하락 중에 일시 회복
- (노지·시설포도) 평년·전년 대비 증가로 지속적인 상승 추세
![](https://blog.kakaocdn.net/dn/tZkfh/btrMcSv4FLZ/ms9iolNnX5iIxepT2jKNck/img.png)
감 소 |
○ (추세 비교) 단기추세(전년 대비) 對 중장기 추세(평년 대비)
- (노지쪽파) 평년 대비 29% 증가(중장기 상승세) 과정에서 전년 대비 20% 감소(단기 하락)로 상승세 둔화
- (노지당근) 평년 대비 57% 감소(중장기 하락세) 과정에서 전년 대비 63% 감소(단기 급락)로 강한 하락세 지속
○ 전년 대비 감소 : 15개 작목
- 주요 하위 작목: 노지당근(△63%), 노지생강(△50%), 고랭지무(△43%)
○ 평년 대비 감소 : 11개 작목
- 주요 하위 작목: 노지당근(△57%), 노지생강(△45%), 노지대파(△30%)
(기준: 천원/10a)
순위 | 작목 | ’20년 | ’21년 | 평년 (’16~’20) |
’21년증감률(%) | |
전년 대비 | 평년 대비 | |||||
1 | 오이(촉성) | 12,626 | 12,607 | 12,542 | △0.2 | 0.5 |
2 | 시설호박 | 6,802 | 6,123 | 5,717 | △10.0 | 7.1 |
3 | 블루베리 | 4,256 | 4,186 | 4,444 | △1.6 | △5.8 |
4 | 시설상추 | 4,812 | 3,951 | 4,748 | △17.9 | △16.8 |
5 | 시설부추 | 4,001 | 3,929 | 4,184 | △1.8 | △6.1 |
6 | 노지쪽파 | 4,396 | 3,529 | 2,744 | △19.7 | 28.6 |
7 | 인삼(4년근)* | 2,171 | 1,885 | 2,393 | △13.2 | △21.2 |
8 | 노지생강 | 3,364 | 1,691 | 3,089 | △49.7 | △45.3 |
9 | 노지대파 | 2,119 | 1,335 | 1,897 | △37.0 | △29.6 |
10 | 시설시금치 | 1,268 | 1,197 | 1,250 | △5.6 | △4.2 |
11 | 노지고랭지무 | 2,014 | 1,146 | 1,616 | △43.1 | △29.1 |
12 | 노지봄배추 | 1,177 | 1,129 | 1,007 | △4.1 | 12.1 |
13 | 노지고랭지배추 | 1,266 | 1,010 | 1,291 | △20.2 | △21.8 |
14 | 노지양배추 | 1,195 | 915 | 1,079 | △23.4 | △15.2 |
15 | 봄감자 | 854 | 725 | 871 | △15.1 | △16.8 |
16 | 노지당근 | 1,883 | 692 | 1,595 | △63.2 | △56.6 |
* 인삼(4년근)은 연간 소득으로 환산
○ (추세 비교) 평년 대비 증감과 전년 대비 10% 이상·이하 감소
- (노지봄배추) 평년 대비 12% 증가(중장기 상승세) 과정에서 전년 대비 4% 하락(단기 하락)으로 일시 하락 또는 조정
- (노지당근) 평년 대비 57% 하락(중장기 하락세) 과정에서 전년 대비 63% 하락(단기 급락)으로 강한 하락세 지속
![](https://blog.kakaocdn.net/dn/mBMXp/btrMekkNQYt/zg9WUkopCA9Jkrk2p9FNLk/img.png)
작목군별 경영성과 |
○ 전년 대비 경영비 상승에도 가격·수량 제고를 통해 소득 증가 작목이 많음
- (수량) 식량작물, 노지과수, 특용작물은 전년 대비 수량 증가
- (가격) 시설채소, 노지과수, 식량작물은 전년 대비 가격 상승
- (비용) 시설채소, 노지과수, 식량작물은 전년 대비 비용 증가
- (소득) 노지과수, 식량작물, 시설채소는 전년 대비 소득 증가
항목 | 전체 | 식량작물 | 노지채소 | 시설채소 | 노지과수 | 시설과수 | 화훼 | 특용 |
수량 (증가/감소) |
31/19 | 6/1 | 7/5 | 8/8 | 7/2 | -/1 | -/1 | 3/1 |
가격 (상승/하락) |
35/15 | 5/2 | 5/7 | 13/3 | 7/2 | 1/- | 1/- | 3/1 |
비용 (증가/감소) |
36/14 | 7/0 | 5/7 | 11/5 | 8/1 | 1/- | 1/- | 3/1 |
소득 (증가/감소) |
34/16 | 6/1 | 4/8 | 11/5 | 8/1 | 1/- | 1/- | 3/1 |
붙임 4 | 작목별 소득변동계수 |
□ (’21년 기준) 시설딸기 소득이 가장 안정적, 노지당근이 가장 불안정
○ (10a 기준) 시설채소(딸기, 수박, 참외) 소득이 상대적으로 안정
- 시설채소 및 노지과수는 시설·과원 기반 재배기술 안정화로 소득 편차가 적으나, 노지채소(고랭지·조미)는 소득 편차가 큼
* (’21년 기준) 변동계수: 7.3∼16.1(식량작물), 8.0∼21.7(노지채소), 5.6∼20.8(시설채소), 6.3∼13.1(노지과수), 7.9(시설포도), 18.1(시설장미), 8.7∼11.9(특용약용)
작목별 소득 변동계수 추이
작목군 | 작목명 | 평균 | 2019 | 2020 | 2021 | 작목군 | 작목명 | 평균 | 2019 | 2020 | 2021 | |
식량 작물 |
겉보리 | 14.0 | 15.7 | 16.3 | 10.0 | 시설 채소 |
시설호박 | 8.9 | 10.6 | 7.7 | 8.4 | |
쌀보리 | 11.5 | 8.4 | 14.3 | 11.7 | 토마토(촉성) | 12.2 | 10.6 | 11.1 | 14.9 | |||
밀 | 12.6 | 12.0 | 17.2 | 8.6 | 토마토(반촉성) | 8.8 | 9.8 | 8.1 | 8.5 | |||
노지풋옥수수 | 6.6 | 5.7 | 6.9 | 7.3 | 방울토마토 | 8.0 | 8.3 | 8.9 | 7.8 | |||
고구마 | 6.8 | 6.5 | 6.6 | 7.3 | 시설가지 | 10.1 | 9.1 | 10.3 | 10.9 | |||
봄감자 | 9.7 | 8.8 | 10.6 | 9.6 | 파프리카 | 12.2 | 14.1 | 10.9 | 11.5 | |||
가을감자 | 20.3 | 31.2 | 13.5 | 16.1 | 시설시금치 | 16.5 | 12.8 | 18.6 | 20.8 | |||
노지 채소 |
노지수박 | 10.2 | 6.4 | 13.9 | 10.3 | 시설상추 | 11.2 | 12.2 | 12.1 | 9.3 | ||
가을무 | 10.4 | 8.4 | 10.9 | 12.0 | 시설부추 | 10.3 | 11.1 | 9.8 | 10.0 | |||
고랭지무 | 11.8 | 12.2 | 9.8 | 13.4 | 시설고추 | 9.4 | 7.6 | 9.3 | 11.6 | |||
당근 | 15.6 | 12.4 | 12.8 | 21.7 | 노지 과수 |
사과 | 6.7 | 6.6 | 7.1 | 6.4 | ||
봄배추 | 13.1 | 10.1 | 16.7 | 12.5 | 배 | 5.4 | 5.1 | 5.4 | 6.3 | |||
가을배추 | 8.3 | 8.6 | 8.2 | 8.0 | 복숭아 | 6.6 | 5.6 | 7.7 | 6.4 | |||
고랭지배추 | 13.3 | 13.6 | 11.3 | 15.0 | 노지포도 | 6.7 | 6.5 | 6.8 | 6.9 | |||
시금치 | 12.9 | 14.1 | 11.3 | 13.2 | 노지감귤 | 12.9 | 13.0 | 12.8 | 13.1 | |||
양배추 | 12.9 | 16.1 | 10.4 | 12.2 | 단감 | 7.9 | 8.2 | 6.9 | 8.9 | |||
대파 | 8.6 | 7.6 | 6.4 | 11.8 | 참다래(키위) | 12.4 | 13.7 | 12.0 | 11.4 | |||
쪽파 | 10.7 | 10.6 | 11.3 | 10.1 | 블루베리 | 8.6 | 8.4 | 10.0 | 7.4 | |||
생강 | 11.8 | 10.0 | 10.8 | 14.5 | 자두 | 16.8 | 26.9 | 12.8 | 10.8 | |||
시설 채소 |
수박(반촉성) | 5.5 | 5.0 | 6.0 | 5.6 | 시설과수 | 시설포도 | 9.1 | 10.2 | 9.1 | 7.9 | |
시설참외 | 6.0 | 5.5 | 6.5 | 5.9 | 시설화훼 | 시설장미 | 14.3 | 11.1 | 13.7 | 18.1 | ||
시설딸기 | 5.3 | 5.1 | 5.2 | 5.6 | 특용 약용 |
들깨 | 9.3 | 8.8 | 9.0 | 10.1 | ||
오이(촉성) | 9.7 | 9.1 | 11.0 | 9.0 | 인삼(4년근) | 8.7 | 8.4 | 9.0 | 8.7 | |||
오이(반촉성) | 8.0 | 7.5 | 9.0 | 7.6 | 참깨 | 9.2 | 7.9 | 10.8 | 8.9 | |||
오이(억제) | 13.6 | 13.8 | 13.4 | 13.5 | 오미자 | 9.7 | 11.0 | 8.2 | 11.9 |
* 변동계수(CV)는 대푯값을 중심으로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작목별 소득 변동계수(CV)가 작을수록 연도별 소득변동이 적어 안정적인 작목으로 분류(CV=표준오차/평균×100%)
'나의일상일기 > 글로벌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농산어촌 고향사랑 박람회장에서 (0) | 2022.10.12 |
---|---|
국산 새싹귀리의 근육감소증 개선 효능 밝혀 (0) | 2022.09.26 |
추석맞이 과천경마공원 바로마켓에서 장을 보고 즐긴다. (0) | 2022.09.01 |
제7회 과천시 청소년 진로박람회장에서 (0) | 2022.09.01 |
2022 A FARM SHOW 창농·귀농 고향사랑 박람회가 열린다. (0)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