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 대응]
❷ 청년 정착이 곧 미래!‘함성패키지’로 지방소멸 극복
○ 청년 유출 막고 지역 정착 유도하는 종합 대책 추진
○ 취업‧정착‧자산 형성까지 맞춤형 청년 지원 정책 강화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함성패키지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최근 4년간 전북에서만 3만 4천여 명*의 청년(18~39세)이 타 지역으로 떠났으며, 이에 따라 전주시를 제외한 도내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2020년 10,286명, 2021년 8,219명, 2022년 8,666명, 2023년 7,196명
이에 전북특별자치도는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지원하는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지원책을 시행해 청년이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함성패키지 사업’은 ‘함께 성공’의 줄임말로, 전북 청년의 구직·정착·자산 형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전북형 청년활력수당’(미취업 청년 지원)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재직 청년 지원)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근로 청년 자산 형성 지원)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취업을 준비하고,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미취업 청년들에게 6개월간 매월 5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 대상은 만 18세에서 39세까지의 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 2,000명이며, 지원금은 학원 수강료, 교재비, 면접 준비비 등 구직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무역량 강화 교육도 함께 제공해 청년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농업, 문화예술, 연구소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하는 청년들에게 월 30만 원을 1년간 지원하는 제도다. 올해 지원 대상은 3,000명으로 확대됐으며, 지원금은 생활용품, 교통비, 건강관리 등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포인트 형태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재직 유지율을 높이고, 장기적인 지역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은 근로 청년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18세에서 39세까지 중위소득 140% 이하의 청년이 매월 10만 원을 적립하면, 동일한 금액을 지자체에서 추가 지원한다. 2년 만기 시 약 5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며, 금융 및 재무 컨설팅 교육도 함께 제공해 청년들의 자산 관리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해 함성패키지 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참여자의 93.1%가 추천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의 경우 재직 유지에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95.1%에 달했다. 또한,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 사업은 도내 거주 유지에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90.4%, 만족도가 96.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북자치도는 올해도 청년들의 의견을 반영해 사업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1월 모집공고 후 현재 대상자 선정 단계에 있으며,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이달 말까지 신청을 받는다. 또한,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은 3월 초 모집 공고를 통해 신규 참여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천영평 전북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전북의 미래는 청년들에게 달려 있다”며,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청년이 살고 싶은 전북’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참고 | 전북청년 함성 패키지 사업 비교 |
사업명 |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 (전북형 청년수당) |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 | |
대 상 (‘25년) |
중소기업 등 재직 청년 3,000명 (중위소득 180%이하) |
미취업 청년 2,000명 (중위소득 150%이하) |
도내 거주 근로 청년 1,300명 (중위소득 140%이하) |
|
민선8기 (‘23~‘26) |
총 12,000명(연 3,000명) | 총 8,000명(연 2,000명) | 총 4,100명 (‘23년 300→‘24년 1,000→ ‘25년 1,300→‘26년 1,500) |
|
선 정 현 황 |
‘23 | (신청) 6,810명 (선정) 3,000명 |
(신청) 2,936명 (선정) 2,000명 |
(신청) 7,138명 (선정) 300명 |
‘24 | (신청) 5,043명 (선정) 3,000명 |
(신청) 2,791명 (선정) 2,000명 |
(신청) 14,621명 (선정) 1,000명 |
|
소요예산 (‘25년) |
10,800백만원 (도 5,400, 시군 5,400) |
6,050백만원 (도 3,050, 시군 3,000) |
2,980백만원 (도 1,600, 시군 1,380) ※ ‘25년 지원인원: 2,300명 |
|
사업내용 | 월 30만원/1년(360만원) | 월 50만원/6개월(300만원) | 월 10만원 납입시 지자체 동일 금액 매칭 지원 /만기2년 (480만원+이자) |
|
사업목적 | 취업 초기 청년 지원으로 지역정착 유도 | 미취업청년 사회활동 촉진 | 청년층 안정적 자산형성으로 경제적 자립 역량 제고 |
|
추진일정 및 계 획 |
(접수) ‘25. 1. 13.~2. 5. (심사 및 선정) ‘25. 3월 예정 |
(접수) ‘25. 2. 3.~ 2. 28. (심사 및 선정) ’25. 3월 말 예정 |
(접수) ‘25. 3. 4.~ 3. 17. (심사 및 선정) ‘25. 5월 예정 |
|
상호중복 가능여부 |
(불가) 적금사업 참여중인자 (가능) 적금사업 수혜 후 종료자 |
(불가) 적금사업 참여중인 자 (가능) 적금사업, 청년수당 수혜 후 구직자 |
(불가) 수당사업 참여중인자 (가능) 수당사업 수혜 후 종료자 |
'농업난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반도서 사과나무 사라진다는데…이젠 무슨 과일 먹지? (0) | 2025.03.11 |
---|---|
[지방소멸 위기 대응-❸] 지방소멸 위기 대응, 체류형 관광 육성으로 돌파한다 (0) | 2025.03.04 |
지방소멸 위기 대응 – ❶] 전북자치도, 인구감소 위기 넘는다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등 1천억대 기금 투입 (0) | 2025.03.04 |
[농축산열전]⑦ ‘구황작물’은 옛말… 맛 좋고, 영양 많은 감자 vs 고구마 (1) | 2024.10.16 |
[농축산열전]⑥ 소 vs 돼지… ‘고기파’ 직장인 회식 메뉴 양대산맥 (0) | 2024.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