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45

국산 커피 산업화 전망 밝아 (디지털 농업) 이 기사는 성공 농업을 일구는 농업경영 전문지 월간 ‘디지털농업’3월호 기사입니다.온난화 영향으로 아열대 작물인 커피가 국내에서 재배되면서 새로운 소득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내에서 커피나무는 주로 관상용 또는 관광 상품화 용도로 재배하는데, 최근엔 원두 생산을 위해 대량생산 체계를 갖춘 농가도 여럿 있다. 소득작물로 관심이 높은 국산 커피 재배 현황과 산업화 전망에 대해 살펴봤다.한국인이 가장 즐겨 마시는 음료 중 하나가 바로 커피다.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 수출 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커피(생두와 원두·커피농축물·인스턴트커피) 수입액은 13억 7846만 달러(약 1조 9000억 원)로 전년(12억 4217만 달러)보다 11% 증가했다. 국민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2023년 기준 40.. 2025. 3. 27.
2025년도 '도시농업 /생활수경 / 치유농업 적정기술 교육' [ 자료출처 : 네이버 밴드 (함께하는 도시농업 ) 2025년 3월26일 : K-coop(한국시티팜협동조합) ] 2025년도 '도시농업 /생활수경 / 치유농업 적정기술 교육' ¤ 일자 : 2025년 04월 10일(목) ¤ 장소 : 한국시티팜협동조합 서울 양천구 새싹인삼 식물공장 , 서울 양천구 식물공방 카페, '참새놀이터¤ 주소 : 서울 양천구 가로공원로  60가길 15¤ 시간 : 오후 14:30~18:00¤ 교육 내용 -  참쉬운 새싹인삼 식물공장 견학.  누구나 쉽게할수 있는 식물공방.  Cafe 견학- 유지관리가 간단한 벽면녹화 기술  소개- 수경재배핵심 이론- 참쉬운새싹인삼 재배기술 소개. 토경(특허) : 흙에키움 . 수경(특허) : 물에키움 /치마공법 . 목경(특허) : 소나무에 키움. 목경(특.. 2025. 3. 26.
“다 동남아산 아녔어?” 용인에서 키운 ‘바나나’라니… 농가들도 난리 [지구, 뭐래?] “다 동남아산 아녔어?” 용인에서 키운 ‘바나나’라니… 농가들도 난리 [지구, 뭐래?][ 자료출처 : 헤럴드경제 2025년3월20일 ]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이게 왜 여기서 나와?”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린 바나나 나무. 흔히 동남아시아 농가의 모습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반전이 있다. 여기는 경기도 용인시. 수도권이다.수도권서 바나나를 수확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 하지만 향후 더 많은 열대작물이 생산될 전망이다. 지구온난화로 한반도의 재배 환경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일각에서는 향후 30년 안에 우리 땅 절반이 아열대 작물을 키우기 적합하게 바뀔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동네 마트에서 ‘국내산 바나나’를 사는 일도 멀지 않았다는 얘기다. 경기 용인시농업기술센터는 최근 아열대 작물 과학영농시.. 2025. 3. 21.
제15회 2025 아시아 태평양 난초 컨퍼런스(APOC) (15회 2025 TIOS/APOC 난 전시회) 제15회 2025 아시아 태평양 난초 컨퍼런스(APOC) (15회 2025 TIOS/APOC 난 전시회) APOC는 3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난초 행사로, 난초의 다양성과 보존에 초점을 맞추고 난초의 아름다움을 기념합니다. 1984년 설립된 이래 APOC는 전 세계의 난초 애호가, 연구자 및 전문가가 지식을 공유하고, 보존을 촉진하고, 난초의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는 선도적인 플랫폼이었습니다. 제15회 APOC는 2025년 3월 대만 타이난에서 개최됩니다. 영감을 주는 강의, 매혹적인 전시회, 흥미진진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잊지 못할 경험에 참여하십시오. 난초 재배, 연구 및 보존에 대한 최신 개발 상황을 살펴보세요. 아시아 태평양 난초 컨퍼런스란 무엇입니까?아시아 태평양 난초 컨퍼런스(APOC)는 .. 2025. 3. 19.
2025년 10대 농정 이슈 2025년 농정 여건 전망 2025년 농업·농촌 대내외 주요 여건 변화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증가로 농업 부문 전반의 대응 필요성이 증대  2024년에는 겨울철 이상 고온, 폭염, 병충해, 폭설 등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시 기별로 여러 품목에 다양한 양태로 수급 및 고물가 문제를 초래하였음. 이로 인해 농가경영 위험이 가중되었고, 소비자 후생은 감소  앞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은 빈도와 강도 측면에서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농업·농촌 전반에 걸쳐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대책은 물론, 기후변화 속도를 완화하기 위한 대책도 요구되는 상황 세계 경제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자국우선주의·보호무역주의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 경제 불안정 요인이.. 2025. 3. 11.
한반도서 사과나무 사라진다는데…이젠 무슨 과일 먹지? “2050년대, 사과는 강원 고산지대서만 열려” 암울 전망농진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기후변화 대응망고·패션프루트·올리브 등 재배확산 위한 품종·재배기술 연구아열대 과일 재배 농가, 5년새 2배가량 증가[ 자료출처 : 이데일리 2025년 3월11일 ,  김미영 기자 ] 유럽 지중해의 대표 식물인 올리브나무가 한반도 서남쪽의 제주도에서 주렁주렁 열매를 맺었다. 따뜻하게 온도를 맞춘 온실 안이 아닌 노지(露地)에서다. 아직은 수십 가구에 불과하지만, 올리브나무를 키우는 농가가 점차 늘어나면서 한국에서도 올리브 과수원에서 기념사진을 찍을 수 있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10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여름이 지난해보다 기온이 높을 확률이 60%다.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월 평균 온도가 10도를 넘고 작년처럼.. 2025. 3. 11.
고귀한 생명의 탄생! 보석식물, 다양한 풍란들의 세계 2편 고귀한 생명의 탄생! 보석식물, 다양한 풍란들의 세계 (The world of noble and elegant jewel plants, various orchids) 우수한 소엽풍란 (부귀란)품종을 이용 교배 육종하여 먼지같은 작은 종자을 종묘배지에 파종하여 일정시간이 지난후 종자발아후 생강근처럼 자라 다양한 작은 풍란 신아가 나온후 어느정도 어린개체가 형성후 경제성이 있는 개체를 선발하여 재배한다.     사진자료출처 : Facebook – Neofinetia 富貴蘭 (Daisuke Kasahara 등)https://youtu.be/mot9jb7Cz3Y?si=cyO2KnAx8bK0vjvI 2025. 3. 10.
고귀한 생명의 탄생! 보석식물, 다양한 풍란들의 세계 고귀한 생명의 탄생! 보석식물, 다양한 풍란들의 세계 (The world of noble and elegant jewel plants, various orchids) 우수한 소엽풍란 (부귀란)품종을 이용 교배 육종하여 먼지같은 작은 종자을 종묘배지에 파종하여 일정시간이 지난후 종자발아후 생강근처럼 자라 다양한 작은 풍란 신아가 나온후 어느정도 어린개체가 형성후 경제성이 있는 개체를 선발하여 재배한다.     사진자료출처 : Facebook – Neofinetia 富貴蘭 (Daisuke Kasahara 등)https://youtu.be/0QFAAa8LHZQ?si=d188GqyI91Kfvwud 2025. 3. 10.
자연의 신비, 화려하고 아름다운 盆栽作品의 세상 자연의 신비, 화려하고 아름다운 盆栽作品의 세상(The mystery of nature, the world of gorgeous and beautiful bonsai works) -  부겐벨레아 ( Bougainvillea glabra ), 아데니움(Adenium obesum, 사마의 장미,석화) , 장미 등 사진자료출처 : Facebook - Bonsai The World, Dunia Bnsai 등  https://youtu.be/qHJbc4ccAbE?si=6CZOo75GrLrx4_do 2025. 3. 10.
‘신품종 과일’ 수출 기술로 싱가포르서 신선한 매력 뽐내 - 우리 딸기, 키위, 만감류에 시에이(CA) 선박 수출 기술 적용- 현지 구매상 “단맛, 겉모습 등이 좋아요” 긍정적 반응- 신선도 유지 기술 개발, 보급 확대…수출 경쟁력 높여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우리나라 신품종 과일에 신선도 유지 기술인 시에이(CA)* 기술을 적용, 신선하게 싱가포르까지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시에이(CA, Controlled Atmosphere): 산소 농도를 낮추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 대기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호흡을 억제해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 농촌진흥청은 2021년부터 선박 수송 컨테이너에 이 기술을 적용해 연구를 진행해 왔음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과일 품종이 개발되고 있지만, 수출은 여전히 특정 품종에 편중돼 있다. 더욱이 신품종은 단발성.. 2025. 3. 5.
[지방소멸 위기 대응-❸] 지방소멸 위기 대응, 체류형 관광 육성으로 돌파한다 [지방소멸 위기 대응]❸ 지방소멸 위기 대응, 체류형 관광 육성으로 돌파한다○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 및 인구 유입 효과 기대○ 워케이션, 미식관광, 야간관광, 한 달 여행하기 등 다양한 장기 체류형 프로그램 추진전북특별자치도가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방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단순 방문형 관광에서 벗어나 ‘오래 머무는 관광’을 유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정주 인구 확대까지 연결하는 전략이다. 전북은 국내외 관광 트렌드를 반영해 워케이션(Work+Vacation), 미식관광, 야간관광, 한 달 여행하기 등 다양한 장기 체류형 관광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역 특성을 살린 체험형 콘텐츠를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광객 수 증가뿐만 아니라 체류 일수와 관광소비액을 높여 실질적인.. 2025. 3. 4.
[지방소멸 위기 대응-❷] 청년 정착이 곧 미래!‘함성패키지’로 지방소멸 극복 [지방소멸 위기 대응]❷ 청년 정착이 곧 미래!‘함성패키지’로 지방소멸 극복○ 청년 유출 막고 지역 정착 유도하는 종합 대책 추진○ 취업‧정착‧자산 형성까지 맞춤형 청년 지원 정책 강화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함성패키지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최근 4년간 전북에서만 3만 4천여 명*의 청년(18~39세)이 타 지역으로 떠났으며, 이에 따라 전주시를 제외한 도내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2020년 10,286명, 2021년 8,219명, 2022년 8,666명, 2023년 7,196명 이에 전북특별자치도는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지원하는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지원책을 시행해 청년.. 2025. 3. 4.
지방소멸 위기 대응 – ❶] 전북자치도, 인구감소 위기 넘는다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등 1천억대 기금 투입 [ 지방소멸 위기 대응 ] ❶] 전북자치도, 인구감소 위기 넘는다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등 1천억대 기금 투입○ 2025년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총 64개 사업에 1,019억원 투입○ 전북자치도 곳곳에 자리잡은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활짝’○ 3대 전략으로 임신·출산, 일자리 창출, 교육·사회서비스 향상 집중 추진    전북자치도는 인구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활력을 높이기 위해 인구감소(관심)지역에 투자하는 ‘2025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총 1,019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북 내 인구감소 및 관심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도 기금 14개 사업에는 193억 원, 시군 기금 50개 사업에는 826억 원이 지원된다. 대상 지역은 정읍, 남원, 김제, 진안, 무주, 장수, 임실, .. 2025. 3. 4.
아름답고 화려한 선인장꽃들의 세상( The world of beautiful and colorful cactus flowers) 아름답고 화려한 선인장꽃들의 세상( The world of beautiful and colorful cactus flowers) [ 사진자료 출처 : facebook – Cactus Garder ] https://youtu.be/JZQ4fCW8m64?si=eESQybGRC0H0y8mS 2025. 2. 28.
노지 스마트농업기술 기반 계약재배로 농업-기업 간 상생 한단계 도약 - 농가·스마트농업 솔루션기업·식품기업 간 계약재배 상생모델 본격 가동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2월 17일(월)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아워홈 동서울물류센터를 방문하여 노지 스마트농업기술이 적용된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공급된 농산물의 물류과정을 살펴보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이번 현장방문은 식품기업과 스마트농업 솔루션기업 등 계약재배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이를 더욱 확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특히, 이번 상생 사례는 스마트농업 솔루션기업(화산엔지니어링)이 전남 진도 대파 농가에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사후 관리를 통해 식품기업 아워홈과 계약재배를 중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향후 화산엔지니어링은 농가에 노지 스마트농업 기.. 2025. 2. 17.